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중국의 주요 거시경제 관리 기관으로, 경제 정책 결정과 관련된 국무원 산하 최고 기구이다. 1952년 국가계획위원회로 설립되어, 국가발전계획위원회, 국가발전개혁위원회를 거쳐 현재에 이르렀다. 중국의 5개년 계획 수립을 포함하여 경제 목표, 가격 정책, 시장 정책 등을 총괄하며, 반독점법 집행, 기후 정책 수립 등의 기능을 수행해왔다. 또한, 외국인 투자 심사, 민간 경제 감시 등 다양한 업무를 담당하며, 산하에 여러 행정기관과 연구소를 두고 있다. 위원장은 국무원 총리가 지명하고, 전국인민대표대회 또는 상무위원회의 승인을 거쳐 주석이 임명한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 국가민족사무위원회
국가민족사무위원회는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산하 부처로, 소수 민족 관련 업무를 담당하며, 1949년 설립되어 문화대혁명 기간 해체되었다가 1978년 부활하였고, 현재는 중국공산당 중앙통일전선공작부의 지도를 받으며 소수 민족의 자치 보장과 권익 보호, 사회 통합을 위한 정책을 추진한다. - 중화인민공화국의 정치 - 자오커즈
자오커즈는 중국 공산당의 고위 관료로서, 중학교 교사로 시작해 여러 지방 및 중앙 정부 요직을 거쳐 중국 공안부장까지 역임하며 중국 정치 권력의 핵심 인물로 활동했으나, 인권 탄압과 사회 통제 강화에 대한 비판도 받고 있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국인
중국인은 지리적 출생 및 거주, 민족 구성, 종족적 분류, 국적, 정치적 관점 등 다양한 기준에 따라 정의가 달라지는 복합적인 개념이다. - 중화인민공화국에 관한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은 중화인민공화국의 최고 국가 행정 기관이며, 국무원 총리가 행정 전반을 지휘·감독하고, 중국 공산당의 지도 하에 운영되며, 2024년 조직법 개정을 통해 중국 공산당 중앙위원회의 지도와 이념을 따라야 한다.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 [정부기관]에 관한 문서 | |
---|---|
지도 | |
기본 정보 | |
공식 명칭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발전개혁위원회 |
로마자 표기 | Zhōnghuá Rénmín Gònghéguó Guójiā Fāzhǎn hé Gǎigé Wěiyuánhuì |
약칭 | 발개위 (Fāgǎiwěi) |
설립일 | 1952년 11월 |
이전 기관 | 국가계획위원회 (1952–1998) 국가발전계획위원회 (1998–2003) |
관할 | 중국 정부 |
본부 | 중국 베이징시 시청구 위탄남로 38호 |
모기관 | 중화인민공화국 국무원 |
웹사이트 | 공식 웹사이트 |
조직 | |
주임 | 정산제 |
부주임 | 총량, 조진신, 이춘린, 류수사 |
기율 검사 감찰조 조장 | 손회신 |
당조 성원 | 상리빈, 류환신, 류례훙, 장젠화, 궈란펑 |
비서장 | 오호 |
부비서장 | 구홍, 장세흔, 원달, 소위명 |
하위 기관 | |
하위 기관 | 중국국제경제교류센터 |
기타 | |
역할 | 거시경제 관리 담당 중국 정부 기관 |
2. 역사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1952년 11월 중앙인민정부 국가계획위원회로 설립되었다. 1954년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계획위원회, 1998년 3월 국가발전계획위원회, 2003년 3월 현재의 명칭으로 변경되었다.[2]
2008년 후진타오-원자바오 정부는 지역 개발 균형을 위해 중국 중부 지역 경제 발전 정책을 발표했다.[3] 2016년 알리바바 그룹과 농촌 전자상거래 발전 협약을 체결했고,[4] 2017년 중국의 국가 탄소 배출 거래 시스템을 발표했다.[5]
2018년 이전에는 중국 반독점법 집행을 담당했으나 시장감독총국으로 이관되었다. 2015년 2월 퀄컴의 독점금지법 위반에 9.75억달러의 벌금을 부과했다.[6] 같은 해 기후 정책 기능은 생태환경부로 이관되었다.[7]
2020년 12월 19일 국가 안보 관련 외국인 투자 심사 규칙을 발표했고,[8][9] 2021년 10월 "뉴스 수집, 편집, 방송 및 배포" 분야 민간 자본 제한 규칙을 발표했다.[10] 2023년 9월 4일 민간 경제 감시 및 민간 기업 소통을 위한 민간경제발전국을 설립했다.[11]
2. 1. 명칭 변천
기간 | 명칭 |
---|---|
1952년 11월 ~ 1954년 | 중앙인민정부 국가계획위원회 (중앙인민정부) |
1954년 ~ 1998년 |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계획위원회 |
1998년 3월 ~ 2003년 3월 | 국가발전계획위원회 |
2003년 3월 ~ 현재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는 중국의 주요 거시경제 관리 기관이자, 경제 정책 결정과 관련하여 국무원 최고 기관이다.[12] 중국의 5개년 계획 수립 등 중국의 계획 시스템을 총괄한다.[13] 주요 기능으로는 경제 목표 설정, 가격 및 시장 정책, 공급측 구조 개혁, 국내외 투자 정책, 지역 및 산업 개발 전략, 주요 인프라 프로젝트, 소비 정책, 혁신 주도 개발, 과학 기술 인프라, 첨단 기술 산업, 사회 개발, 기본 공공 서비스 제공 등이 있다.[13] 또한 알루미늄, 철강, 에너지 등 산업 부문의 과잉 생산 문제를 해결하고, 경제 과열 또는 침체를 방지하기 위해 대규모 인프라 건설을 담당한다.[12]
국가발전개혁위원회는 국무원 산하 국가방위동원위원회, 국무원 서부개발지도소조, 동북 노후 산업기지 부흥 국무원 지도소조 등 여러 주요 지도 소조의 사무처를 관리하며, 이들은 모두 총리가 이끈다.[13]
3. 기능
다른 부처와 협력하여 법률 및 규정 초안을 작성하고,[14] 중국 기업의 해외 외국인 직접 투자를 감시하며, 블랙리스트에 포함된 프로젝트 투자를 방지한다.[15] 중화인민공화국을 인정하지 않거나, 내전 등으로 어려움을 겪는 국가, 국경 수자원 문제 또는 무기 생산과 관련된 민감한 프로젝트는 승인한다.[15]
국가위생건강위원회와 협력하여 인구 통계 추세를 연구하고 인구 정책을 수립하며,[13] 지속 가능한 개발 전략을 추진한다.[14] 기후 협력을 위한 다른 국가 지원을 조정하여 외국 원조 과정에 참여하고,[15] 중국 사회 신용 시스템 데이터 수집을 담당하는 주요 정부 기관 중 하나이다.[16]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사회발전국은 스포츠, 관광, 대중매체를 포함한 문화 산업 계획 역할도 수행한다.[17]
4. 조직
또한, 일대일로 이니셔티브 추진 국무원 지도소조, 경진기 지역 조정 개발 지도소조, 양자강 경제 벨트 개발 촉진 지도소조, 광둥-홍콩-마카오 대만구역 개발 촉진 지도소조, 하이난 개혁 개방 심화 지도소조의 사무처도 주관하는데, 이들은 1위 부총리가 이끌고,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위원장이 일반적으로 사무처장을 맡는다.[13]
4. 1. 산하 기관
산하에는 9개 연구소를 거느린 거시연구원(宏观研究院)이 설치되어 있으며, 특히 에너지연구소(能源研究所)는 중국의 글로벌 에너지 전략 연구의 핵심으로 자리매김하고 있다.[19]
5. 역대 주임
국가발전개혁위원회(NDRC) 주임 후보는 국무원 총리가 지명하고, 전국인민대표대회 또는 상무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주석이 임명한다.[18]
번호 | 이름 | 직책 | 취임 | 퇴임 | 총리 |
---|---|---|---|---|---|
1 | 가오강 | 중앙인민정부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중앙인민정부 국가계획위원회) | 1952년 11월 | 1954년 8월 | 주은래 총리와는 독립적으로 활동 |
2 | 리푸춘 | 국가계획위원회 담당 장관 | 1954년 9월 | 1975년 1월 | 주은래 |
3 | 위치올리 | 1975년 1월 | 1980년 8월 | 주은래, 화궈펑 | |
4 | 야오이린 | 1980년 8월 | 1983년 6월 | 조자양 | |
5 | 송핑 | 1983년 6월 | 1987년 6월 | 조자양 | |
6 | 야오이린 | 1987년 6월 | 1989년 12월 | 조자양, 리펑 | |
7 | 조우자화 | 1989년 12월 | 1993년 3월 | 리펑 | |
8 | 천진화 | 1993년 3월 | 1998년 3월 | 리펑 | |
9 | 증페이옌 | 국가발전계획위원회 담당 장관 | 1998년 3월 | 2003년 3월 | 주룽지 |
10 | 마카이 | 국가발전개혁위원회 담당 장관 | 2003년 3월 | 2008년 3월 | 원자바오 |
11 | 장핑 | 2008년 3월 | 2013년 3월 16일 | 원자바오 | |
12 | 쉬샤오시 | 2013년 3월 16일 | 2017년 2월 24일 | 리커창 | |
13 | 허리펑 | 2017년 2월 24일 | 2023년 3월 12일 | 리커창 | |
14 | 정산제 | 2023년 3월 12일 | 현직 | 리창 |
5. 1. 중앙인민정부 국가계획위원회 주석
가오강은 1952년 11월부터 1954년 8월까지 중앙인민정부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했다. 이 기간 동안 주은래 총리와는 독립적으로 활동하였다.[18]번호 | 이름 | 직책 | 취임 | 퇴임 | 비고 |
---|---|---|---|---|---|
1 | 가오강 | 중앙인민정부 국가계획위원회 위원장 (중앙인민정부 국가계획위원회) | 1952년 11월 | 1954년 8월 | 주은래 총리와 독립적 활동 |
5. 2. 중화인민공화국 국가계획위원회 주임
번호 | 이름 | 취임 | 퇴임 |
---|---|---|---|
2 | 리푸춘 | 1954년 9월 | 1975년 1월 |
3 | 위추리 | 1975년 1월 | 1980년 8월 |
4 | 야오이린 | 1980년 8월 | 1983년 6월 |
5 | 쑹핑 | 1983년 6월 | 1987년 6월 |
6 | 야오이린 | 1987년 6월 | 1989년 12월 |
7 | 저우자화 | 1989년 12월 | 1993년 3월 |
8 | 천진화 | 1993년 3월 | 1998년 3월 |
5. 3. 국가발전계획위원회 주임
쩡페이옌은 1998년 3월부터 2003년 3월까지 국가발전계획위원회 주임을 역임하였다.[18] 당시 총리는 주룽지였다.번호 | 이름 | 직책 | 취임 | 퇴임 | 총리 |
---|---|---|---|---|---|
9 | 쩡페이옌 | 국가발전계획위원회 담당 장관 | 1998년 3월 | 2003년 3월 | 주룽지 |
5. 4. 국가발전개혁위원회 주임
马凯|마카이중국어는 2003년 3월부터 2008년 3월까지, 장핑은 2008년 3월부터 2013년 3월까지, 쉬사오스는 2013년 3월부터 2017년 2월까지, 허리펑은 2017년 2월부터 2023년 3월까지 주임을 역임하였다.[18] 2023년 3월부터는 정산제가 주임을 맡고 있다.번호 | 이름 | 취임 | 퇴임 | 총리 |
---|---|---|---|---|
1 | 가오강 | 1952년 11월 | 1954년 8월 | 주은래 총리와는 독립적으로 활동 |
2 | 리푸춘 | 1954년 9월 | 1975년 1월 | 주은래 |
3 | 위추리 | 1975년 1월 | 1980년 8월 | 주은래, 화궈펑 |
4 | 야오이린 | 1980년 8월 | 1983년 6월 | 조자양 |
5 | 쑹핑 | 1983년 6월 | 1987년 6월 | 조자양 |
6 | 야오이린 | 1987년 6월 | 1989년 12월 | 조자양, 리펑 |
7 | 저우자화 | 1989년 12월 | 1993년 3월 | 리펑 |
8 | 천진화 | 1993년 3월 | 1998년 3월 | 리펑 |
9 | 쩡페이옌 | 1998년 3월 | 2003년 3월 | 주룽지 |
10 | 마카이 | 2003년 3월 | 2008년 3월 | 원자바오 |
11 | 장핑 | 2008년 3월 | 2013년 3월 16일 | 원자바오 |
12 | 쉬사오스 | 2013년 3월 16일 | 2017년 2월 24일 | 리커창 |
13 | 허리펑 | 2017년 2월 24일 | 2023년 3월 12일 | 리커창 |
14 | 정산제 | 2023년 3월 12일 | 현직 | 리창 |
참조
[1]
웹사이트
The Development of China's Developmental State: Environmental Challenges and Stages of Growth
https://www.chinacen[...]
2014-05-29
[2]
웹사이트
中华人民共和国国家发展和改革委员会
https://en.ndrc.gov.[...]
[3]
서적
How China Escaped the Poverty Trap
Cornell University Press
2016
[4]
서적
From Click to Boom: The Political Economy of E-Commerce in China
Princeton University Press
[5]
서적
Greening East Asia: The Rise of the Eco-Developmental Stat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2020
[6]
서적
China in Global Governance of Intellectual Property: Implications for Global Distributive Justice
Palgrave Macmillan
[7]
서적
Cooperating for the Climate: Learning from International Partnerships in China's Clean Energy Sector
MIT Press
2023
[8]
뉴스
China issues national security rules on foreign investment
https://www.reuters.[...]
2020-12-19
[9]
뉴스
China Defends National Security Rules for Foreign Investment
https://www.bloomber[...]
2020-12-19
[10]
뉴스
China wants an even more dominant state monopoly on the media
https://qz.com/20720[...]
2021-10-11
[11]
뉴스
China Creates Government Body to Support Private Sector
https://www.wsj.com/[...]
2023-09-04
[12]
서적
China's World View: Demystifying China to Prevent Global Conflict
W. W. Norton & Company
2024
[13]
웹사이트
Decoding Chinese Politics
https://asiasociety.[...]
[14]
서적
High Wire: How China Regulates Big Tech and Governs Its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15]
서적
The Latecomer's Rise: Policy Banks and the Globalization of China's Development Finance
Cornell University Press
2024
[16]
학술지
Constructing a Data-Driven Society: China's Social Credit System as a State Surveillance Infrastructure
[17]
서적
Red Tourism in China: Commodification of Propaganda
Routledge
[18]
웹사이트
Constitution of the People's Republic of China
http://www.npc.gov.c[...]
[19]
웹사이트
日中で差が開くシンクタンク力
http://jbpress.ismed[...]
2009-05-18
[20]
웹사이트
中華人民共和国主席令
http://www.npc.gov.c[...]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